Javascript
변수와 타입
변수 (Variable)데이터를 편리하게 저장하고 꺼내 쓸 수 있도록 데이터에 이름을 붙이는 것컴퓨터에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보관함(메모리)가 존재보관함의 크기는 동일함각 보관함의 이름 = 변수보관함의 이름을 활용하여 데이터 처리프로그래밍 세계에서의 변수는 이름(Label)이 붙은 값 → 변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다른 곳에서도 사용 할 수 있다변수 사용법선언 (declaration)보관함을 확보하는 것. let num할당 (assignment)보관함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num = 12 이 때, 등호 기호는 ‘같다’ 가 아닌 할당(대입)을 한다는 의미.선언과 할당선언과 할당을 동시에 할 수도 있음 let num = 12 쉼표를 이용해 키워드를 한 번만 사용하여 여러 개의 변수를 선언하고 할당 할 수 있다...
`typeof` 연산자를 사용해보자
typeof 연산자?변수의 타입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산자.typeof 값 형태로 사용하며, 결과는 타입의 이름으로 반환된다. → string, number, boolean, object, function, undefined 등console.log(typeof 1); // number console.log(typeof 'hello'); // string console.log(typeof true); // boolean let number = 1>2; console.log(number); // false console.log(typeof ['a', 'b']); // object console.log(typeof {number : 1, string : 'a'}); // object let num = f..
함수
함수 (Function)입력에 따라 그에 걸맞은 논리적인 일련의 작업을 하는 하나의 작업 단위어떠한 목적을 가진 작업들을 수행하는 코드들이 모인 블록코드(지시사항)의 묶음기능(function)의 단위입력과 출력간의 매핑(mapping)항상 출력값을 반환함(return)함수 사용법함수 선언 (declaration) 함수라는 버튼을 제작하는 단계. 함수는 변수와 다른 특별한 공간에 보관됨함수 선언식 가장 기본이 되는 함수 선언. function getTriangleArea(base, height) { let triangleArea = (base * height) / 2; return triangleArea; };함수 표현식 변수/상수 선언 후 그 안에 익명함수를 넣는 형식const getTriangleAre..
조건문과 반복문
조건문 (Conditional)어떠한 조건을 판별하는 기준을 만드는 것이며 조건문에는 반드시 비교 연산자(Comparison operator)가 필요하다.비교 연산자3 > 5; // false 4 >= 4; // true 9 < 10; // true 8
문자열
문자열모든 글자의 나열을 뜻하며, 컴퓨터는 코드와 문자열을 구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작은 따옴표’ 나 큰 따옴표”를 사용해서 문자열을 구분한다.문자 하나는 character이며, char이라는 축약어로 부르기도 함문자열은 read-only이다. 새로 할당 하지 않는 이상 부분 재할당은 할 수 없다.str[index]해당 문자열의 인덱스를 찾아 값을 도출한다. 순서는 0번부터 시작한다. 이 때, index로 접근만 가능할 뿐 (read-only) 해당 문자열을 재할당 할 수는 없다.let str = 'ninefloor'; console.log(str[0]); // 'n' console.log(str[4]); // 'f' console.log(str[9]); // undefined str[0] = '..